본문 바로가기

[Windows]시스템 현황을 보기위한 간단한 명령어 1. 호스트 네임(Hostname) 확인 2. IP주소 확인 3. 더보기
[학습1일차]Python환경 설정(Colab 사용) 컴퓨터에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위한 환경을 설정해야 하지만, colab을 사용하면 별도의 셋팅 없이도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어서 colab에서 공부를 진행했다. 아래 도메인 주소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구글이 지원하는 서비스로 누구나 사용가능하며, colab에서 작성된 소스는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할 수도 있다. https://colab.research.google.com/notebooks/intro.ipynb Google Colaboratory colab.research.google.com 더보기
[Knowledge]WAS와 Web Server 서비스의 실행 순서 WAS와 Web Server 서비스의 실행 순서를 기억하자. 지난 주 금요일 WAS와 Web Server를 사용하여 서비스하는 Web application에서 오류가 발생했음. WAS(Port 8080)를 이용한 접속은 가능하지만, Web Server(Port 80)을 이용한 접속은 안됐다. WAS와 Web Server 서비스 모두 동작중이었으며, Web Server 로그에서 특별한 이유가 발견되지도 않았다. 그렇게 한시간 정도 헤메다가, WAS를 재시작 하니까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누군가 Web Server 재시작 후, WAS는 재시작하지 않은 것 같았다. WAS와 Web Server를 사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꼭 아래 순서로 진행하자. 서비스 실행 순서 : Web Server 시작 ->.. 더보기
[Oracle]SID 변경하여 접속하는 방법 하나의 서버에 오라클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유용함. "sqlplus ID/PW"를 입력하면 오라클에 접속되지만, 하나의 서버에 오라클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DB로 접속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먼저 접속하고자 하는 sid를 설정하면 원하는 DB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Oracle] sqlplus로 접속할 때, 비밀번호에 특수문자가 있는 경우 더보기
[Eclipse]properties 파일 한글 수정 Properties 파일에 한글을 작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Properties 파일 수정화면에서는 정상이지만, SVN에 업로드 하거나 서버에 반영할 때 아래아 같이 유니코드로 표시되기도 한다.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유니코드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수정할 파일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Open With -> Text Editor Text Editor로 열어서 수정하면 유니코드로 변경되지 않는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더보기
[Oracle]Service & Listener Start 1. 오라클 계정으로 서버에 접속 2. sysdba계정으로 접속 - Command : sqlplus / as sysdba 3. sqlplus 접속 후 서비스 시작 명령어 실행 - Command : startup 4. sqlplus 접속 종료 - Command : exit 5. 오라클 리스너 시작 - Command : lsnrctl start 더보기
[Oracle]Regular Expressions(정규 표현식) REGEXP_INSTR : 정규 표현식 패턴으로 문자열을 검색할 때 사용 Ex.1) table1의 column1에서 첫 번째 자리의 숫자인 데이터를 찾을 때 SELECT column1, column2, ..., columnN FROM table1 WHERE REGEXP_INSTR(column1, '[0-9\]') = 1 REGEXP_INSTR(column1, '[0-9\0]') = 1 --(자릿수) 만약 2자리 수가 숫자인지 데이터를 조회한다면 자릿수를 2를 변경. 단 위에 조건은 데이터 중 처음 숫자가 나온 자릿수만 반환함. 예를 들어 데이터가 "ABC123"일 때 REGEXP_INSTR(column1, '[0-9\0]') = 4 라고 하면 조회되지만, REGEXP_INSTR(column1, '[0-9.. 더보기